국 명 | 독일 연방공화국(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) (독일어명: Bundesrepublik Deutschland) |
---|---|
위치 | 서유럽 |
면적 | 357,022㎢ (한반도의 1.6배, 대한민국의 3.6배) |
기후 | 온대성, 연간 섭씨 -1.3~17.8도, (’11년 연평균 9.6도) |
수도 | 베를린 |
인구 | 8,115만 명, 외국인 비중 8.5%(’13년 7월 추정치) |
주요 도시 | 베를린(346만명), 함부르크(179만명), 뮌헨(133만명), 퀼른(100만명), 프랑크푸르트(67만명) |
민족(인종) |
|
언어 | 독일어 |
종교 | 가톨릭(34%). 개신교(34%), 이슬람(3.7%), 무교 및 기타(28.3%) |
건국일(통일기념일) | 1871.10.3 (비스마르크 수상에 의해 독일 제2제국 탄생) |
정부형태 | 내각 책임제 |
국가 원수(실권자) |
|
1
독일은 16개주로 구성된 연방공화국
독일 행정구역
- 16개의 주는 연방헌법에 의거해 의회와 정부를 구성
- 16개의 주중에서 베를린, 브레멘, 함부르크 3개 도시는 비록 면적은 작지만 도시 자체가 하나의 주를 형성

-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(Baden-Wurttemberg)
- 바이에른 자유주 (Freistaat Bayern)
- 베를린 (Berlin)
- 브란덴부르크 주 (Brandenburg)
- 자유 한자 도시 브레멘 (Freie Hansestadt Bremen)
- 자유 한자 도시 함부르크 (Freie und Hansestadt Hamburg)
- 헤센 주 (Hessen)
-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 (Mecklenburg-Vorpommern)
- 니더작센 주 (Niedersachsen)
-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(Nordrhein-Westfalen)
- 라인란트팔츠 주 (Rheinland-Pfalz)
- 자를란트 주 (Saarland)
- 작센 자유주 (Freistaat Sachsen)
- 작센안할트 주 (Sachsen-Anhalt)
-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 (Schleswig-Holstein)
- 튀링겐 자유주 (Freistaat Thuringen)



2
독일인의 특징
- 보기보다 자유로운 사상의 소유자
- 독일인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전세계적으로 공통적인 편임
- 독일인은 양배추 절임 (Saucerkraut) 과 소시지를 끼운 딱딱한 빵 (Bratwurst) 을 주식으로 하고 수 리터의 맥주를 마심
- 정리정돈을 좋아하며 원칙주의자로 아이들 양육에는 매우 엄격하고 인간미와 유머 센스가 부족한 편임
- 그러나 실제 독일인을 만나보면 대부분의 독일인이 실제로 오픈 마인드에 관용적이며 친절하고 교양이 높고 자유로운 사상을 갖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될 수 있음
- 과거 역사에 대한 높은 반성 의식
- 독일인 사이에서 애국심에 대한 문제는 과거 나치에 대한 역사 때문에 여전히 매우 민감한 사항임
- 특히 60세 이상의 시니어 독일인은 여전히 국가관 및 정체성의 문제에 혼란을 겪고 있다고 할 수 있음(60년간 독일 문학은 나치 정권 하에 인간성의 상실이라는 주제를 주로 다루고 있음)
- 그러나 현재 독일인 스스로 갖고 있는 역사에 대한 수치심과 일부 자기 혐오는 과거보다 조금 더 긍정적인 자기 존중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나 여전히 타 국민에게 국가에 대한 자긍심을 표현하기까지는 좀 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임
- 코스모폴리탄 성향
- 독일인은 코스모폴리탄적인 성향 (인류 전체를 하나의 세계의 시민으로 보는 입장) 이 강해 지구 곳곳의 이슈에 대하여 관심이 많은 편임
- 또한 국내외 여행을 자주하고 아주 먼 곳으로의 여행도 즐기는 편임
- 대부분이 영어 및 기타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고 언어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열심히 노력하는 편임
- 요리는 자체적으로 발전하였기 보다는 다른 해외 국가의 영향을 많이 받은 편임
- 정식과 신용을 중시하는 대화 스타일
- 대화에서의 주된 가치는 정직과 신용이기 때문에 대화 시 다소 퉁명스러운 경향이 있음 따라서 영국식으로 공손하고 가벼운 사교적인 대화를 원하는 사람에게 독일인과의 대화는 어려울 수 있음
- 독일인에게 옷이 예쁘다고 칭찬하면 그들은 당신에게 옷을 어디서 살 수 있는 지 정보를 줄 수 있음
- 상대방에게도 직언으로 잘못을 지적할 수도 있는데 공격의 의도가 아니라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지가 담길 때가 많음
- 자연스러운 매너 보유
- 독일 사회에서 집단 의식 및 질서를 학습하지 않음.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너는 독일 사회에서 매우 중요
- 다른 서방 사회에서보다 독일의 매너는 더욱 자연스럽고 의식화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 유연성이 높은 것을 추구한다고 보면 됨
댓글
댓글이 없습니다.